PLANO architects & associatesㅣ플라노건축사사무소 Architect 박민성 Minsung Park / 책임건축가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금성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2017년 플라노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이원길 Wongil Lee / 책임건축가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아뜰리에17에서 실무를 익혔다. 2017년 플라노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김근혜 Geunhye Kim / 책임건축가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울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2017년 플라노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We craft aesthetic place capturing life and environment.” ‘PLANO’는 계획, 설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와 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순하고 미학적인 공간을 계획한다. Keywords 플라노건축사사무소 PLANOArchitects&Associates PLANO 단순한미학적인공간 박민성책임건축가 MinsungPark 이원길책임건축가 WongilLee 김근혜책임건축가 Geunhye Kim 모순을조율해공간을만드는일 인간과자연이소통하는장 그라스하우스 느티나무집 산방온집 푸른집 화순별장 “인간은 스스로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쾌적하고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건축행위를 하기 시작했지만, 외부로부터 독립된 인간은 동시에 외부를 갈망한다. 계절의 변화와 빛과 바람의 변화를 느끼는 풍요로운 경험을 원한다. 건축은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그 모순을 조율해 공간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을 기능적으로 보호하면서 인간과 자연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일이다. 플라노는 건축적 장식의 절제를 통해 환경과 사용자가 온전히 자신을 드러내며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한다.”산방온집 山房溫 집, 서정시 같은 자연에 녹아드는 공간깊은 산속 온기가 가득한 따스한 방, 산방온집(山房溫 집)은 건축을 둘러싼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을 내부 공간에서 관조하듯 바라볼 수 있는 한편의 서정시와 같은 공간이다. 인간의 삶과 환경을 담아내며 미적인 공간을 완성한다는 플라노건축사사무소의 디자인 철학을 담아 고요한 숲 한가운데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평화로운 모습을 구현했다. 산방온집은 심미적인 디자인에 기능적인 설계를 더해 지속 가능한 건축을 추구한다. 건물의 구조와 배치, 채광과 통풍까지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간결함, 소박함으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푸른집, 자연에 더해진 건축적 시퀀스를 담은 집김근혜, 박민성 소장 부부는 아이를 낳고 부모이자 건축가로서 “집을 짓고 부모님과 함께 살아보는 건 어떨까?”를 생각하며 이 집의 설계했다. 건축을 내세우기보다 공원을 끼고 있는 땅의 잠재력을 최대한 살리고 싶어 공원과 만나는 부분에 이끼정원을 배치하고, 한식 창호 너머에도 정원을 볼 수 있는 서정적인 풍경으로 만들었다. 1층은 부모님이 안정감을 느끼도록 배려했다면 2층은 부실별로 다른 층고, 사선으로 디자인한 테라스, 미로처럼 연결된 복도, 천창으로 특별함을 더했다. 기계처럼 집 안에서 반복하는 행위들을 편하고 아름답게 하려고 고민하면서 집 안 곳곳에 즐겁고 특별한 건축적 시퀀스가 펼쳐지게 했다.느티나무집, 운명처럼 만난 한 그루 나무에 충실한 집근처 타운하우스에 입주를 앞두고 사전점검을 마치고 나온 뒤 차라리 집을 짓는 게 낫겠다는 생각에 구경삼아 다녀온 곳에서 운명처럼 커다란 아름드리 느티나무 한 그루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탄생한 느티나무집은 집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부부가 답답하거나 지루하지 않게 각각의 공간을 서로 재미있게 소통하는 열린 집으로 디자인했다. 서로 다른 레벨의 마당과 만나면서 하나의 공간에 다양한 공간감을 가지게 했다. 수평적, 수직적으로 오픈 된 대공간은 열린 창으로 다양한 빛과 풍경들을 매일 다르게 담아냈으며, 북동쪽 창으로는 느티나무 사이로 부서진 햇살이 집 안 곳곳으로 들게 했다. 화순별장, 농촌의 풍경에 부모의 기억을 담은 집화순별장은 40여 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간 조경가와 아내인 플로리스트가 자연에서 재충전하며 작품에 필요한 영감을 얻는 곳이다. 열린 구조의 벽을 없애 마을의 풍경인 시시각각 변하는 들판의 경관이 집 안에 들게 했고 천창을 두어 북향에도 어둡지 않은 자연이 풍성한 집이 되게 했다. 건축주의 부모님이 일궈낸 밭에서 캔 돌들을 건축의 주재료로 사용하면서 소통하게 하면서 돌담의 풍경을 집 안으로 끌어들였다.PLANO architects & associatesㅣ플라노건축사사무소A |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64-1E | planoghk@gmail.comW | www.plano.krI | www.instagram.com/plano.planY | www.youtube.com/@_PL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