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윗담, 아랫담 집ㅣ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PROLOGUE : 닫힌 대지 각종 편의시설과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아파트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보편적이며 효율적인 거주 형태이다. 이러한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을 선택하는 사람들에게는 주택에 대한 로망이 있을 것이다. 언제든지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테라스와 활짝 열려있는 넓은 정원, 각기 다른 모습의 개성적인 외관들은 확실히 아파트에서 찾아볼 수 없는 주택만의 고유한 매력이다. 하지만 현실은 밀도 있게 구획되어 있는 도시계획에 의해 주택 단지에 모인 수많은 집들이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 사방으로 막힌 폐쇄적인 형태로 들어서있다. 대상지 또한 마찬가지였다. 주위의 사면이 다른 주택들로 둘러 쌓여 있었기에 건축주의 프라이버시 뿐만 아니라 이웃 주민들의 프라이버시 보호에도 예민하게 대응해야하는 컨디션을 가지고 있었다. 대지 주변의 도시적 맥락을 살펴 보았을 때 근처에 커다란 녹지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접 대지에 들어서있는 주택으로 인해 자연경관을 자유롭게 바라볼 수 없는 상황에서 건축주와 이웃의 프라이버시를 모두 보호하고, 닫힌 대지에서 최대한의 개방감을 확보하며 건축주의 요구를 반영한 건물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Keywords 코드아키텍츠건축사사무소 KODEArchitects 윗담아랫담집 BeyondTheWall 주택에대한로망 프라이버시보호 개방감확보 담장을건축적요소활용 진입시퀸스의가이드라인 한옥의사랑채와안채 각자의방에서즐기는자연풍경 ㄷ자배치 갤러리로활용가능한공간 갤러리월 수공간 수심조절가능한중정 재료의분리 매스의개별감강조 대지분석대상지는 경기도 성남시에 조성된 단독주택단지 내 부지중 하나로 그 중에서도 블록의 코너에 위치해있어 대지가 마주하고 있는 4면중 2면은 8m 도로이며 나머지 2면은 이웃 주택과 인접해있다. 2면이 도로와 마주하고 있지만 우측 도로 너머에는 이미 건물이 들어서 있으며, 전면 도로 너머는 현재 빈 부지로 조성되어 있으나 추후 단독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기 때문에 결국 4면이 모두 다른 주택들로 막혀있는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었다. 전면 도로는 레벨 차이가 거의 없는 평지이지만 우측 도로는 약 2m 정도의 높이 차이로 경사가 존재해 이를 활용하여 차량 진입과 도보 진입의 동선을 분리 계획하였다.01 윗담, 아랫담사면이 건물로 막혀있고 이웃 주민은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로 예민한 대응을 요구하는 상황에 놓인 이 대지에서 “주거 공간을 어떻게 열어주고, 어떻게 닫아줄 것인가?” 는 우리가 마주한 제일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이었다. 이 질문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가장 중요한 메인 주제로써 계획에 작용하였고, 마치 감시카메라처럼 사방에 위치해 있는 주변의 시야를 피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결국 중정을 중심으로 둘러싼 형태의 건물이 피할 수 없는 최선의 선택임에는 틀림없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잠시 머무르는 것이 아닌, 사람이 살아가는 주거 공간을 폐쇄적인 공간으로 만들 수는 없었기에 주변의 시야를 차단하여 건축주와 이웃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동시에 그 안에서 최대한의 개방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건물이 대지의 모든 면을 둘러싸는 폐쇄적인 중정형 형태에서 벗어나, ‘담장(Wall)’이라는 건축적 요소를 활용해 이웃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자연 속 휴식공간과 부모와 독립된 공간을 원하는 건축주 자녀의 요구를 모두 충족하는 주거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때 담장을 건물과 분리된, 단순히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오브제로써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담과 건물을 일체화시켜 담장을 건축적 요소 중 하나로 느껴질 수 있게끔 디자인하였다. 보행자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그저 대지의 경계선을 따라 높게 쌓아올린 담이 아닌, 건물과 일체화된 담은 휴먼 스케일이 아닌 건축적 스케일 속에서 수직적 레벨에 따라 아랫담, 윗담으로 나뉘어져 각기 다른 기능으로 각 레벨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응한다.지하와 1층에 위치하는 아랫담은 1차적으로는 창고라는 용도의 실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앞집으로부터의 시야를 차폐시킨다. 또한, 시각적으로 사면이 막혀있는 건물에서 출입 동선을 유도하는 진입 시퀸스의 가이드라인역할을 한다. 이렇게 담을 따라 대지 내부로 들어왔을 때 마주하게 되는 외부로 뻗어나가는 사선 형태의 담은 이웃 주택들의 틈 사이, 열려있는 공간을 향해 시선을 유도하여 중정형 건물에서 느낄 수 있는 답답함을 해소시켜준다2층과 다락으로 구성된 윗담은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해주는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건축주의 요구였던 두 자녀 사이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실현시키는 핵심적 건축 요소이다. 같은 레벨에 위치해 있지만 윗담을 기준으로 나뉘어진 자녀들의 공간은 각각 한옥의 사랑채와 안채를 상징한다. 방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모두 대지 밖을 향해있는 아들의 공간은 한옥의 ‘사랑채’처럼 외부를 향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열려있고, 보다 내측에 위치한 딸의 공간은 한옥에서 여성의 공간인 ‘안채’와 같이 내향적 구조를 가진다. 아들의 공간에서는 코너창을 통해 대지 주변에 위치한 외부의 녹지를, 딸의 공간에서는 내부 중정을 바라보게끔하여 두 자녀 모두 각자의 방에서 즐길 수 있는 자연풍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시선의 간섭을 완벽하게 차단해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였다.또한 건물의 중심에서 바라보았을 때, 윗담과 아랫담이 중첩되며 만들어내는 공간의 깊이감은 중정의 개방감을 극대화시켜 ㄷ자 배치에서 느껴질 수 있는 답답함을 해소해준다. 결국 윗담과 아랫담은 우리가 처음부터 고민했던 건축주와 이웃의 프라이버시 요구에 대한 ‘어떻게 닫아줄 것인가‘와 중정형 건물의 개방감 부여에 대한 ’어떻게 열어줄 것인가‘라는 두 개의 질문을 모두 해결하는 최선의 건축적 해결책인 것이다.02 ㄷ자 배치건물이 대지에 ㄷ자 형태로 자리 잡은 배경에는 크게 3가지 이유가 있다. ‘이웃 주택으로부터의 프라이버시 보호’, ‘자연적인 휴식공간’,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갤러리로도 활용 가능한 공간‘이라는 건축주의 요구가 바로 그 이유다. 단순히 자연에 대한 요구만을 만족하는 배치라면 ㄷ 형태 외에도 여러가지 배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주변의 시야를 신경쓰지 않고, 마음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에는 인접 건물로부터의 시선을 차단해주는 ㄷ자 배치가 최적이었다. 또한 동일한 대지 면적에서 가장 긴 동선을 계획할 수 있는 ㄷ자배치를 통해 의도적으로 동선을 조금 더 길게 계획하고, 이 동선을 중심으로 갤러리 월을 디자인하여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갤러리로도 활용 가능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대지의 도시적 맥락과 건축주의 요구를 고려했을 때, ㄷ자 배치는 이 대지 위에서 건물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던 것이다.ㄷ동선 & 갤러리 월 다이어그램윗담, 아랫담 다이어그램03 중정과 수공간건물 중심에 위치해있어 실내에서 다양한 뷰로 조망 가능한 중정은 집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결정하는 메인 공간이었기에, 이 집이 갖고 있는 건축적 언어들과 비슷한 결을 부여해 공간의 통일성을 주고자 했다. 이러한 고민 끝에 선택한 수공간은 주거 공간이지만 갤러리로도 공간을 사용하고 싶어하는 건축주의 요구와 중정형 건물에서 최대한의 개방감을 찾고자 했던 고민에 대응하는 또 다른 건축적 제스처였다. 중정을 가득 채운 물은 주변의 모습을 바닥에 비추며 하늘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또 다른 개방감을 만들어 내고, 수공간은 그 자체로 마치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집의 한 가운데에 고요히 자리잡아 주거 공간이지만 마치 갤러리 공간처럼 느껴지게 만든다.하지만 집은 결국 사람이 살아가는 주거 공간이기에, 수공간이 아닌 평범한 마당이 필요한 경우도 고려하여 중정 전체를 수공간으로 계획하는 대신 커다란 석판을 중정 가운데에 조금 낮게 배치하고 이 석판 주변으로 수공간을 조성하였다. 수공간을 채우는 물의 깊이에 따라 중정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수심이 얕을 때는 평범함 마당처럼 보이지만 수공간 중심에 위치한 석판보다 높게 채웠을 때는 완전한 수공간으로 연출되어, 건축주의 필요에 따라원하는 대로 수공간의 수심을 조절하여 보다 다양하게 중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04 스케일을 고려한 입면대지의 높이차로 인해 완전히 묻히지 않은 지하 1층은 실질적으로는 지하층이지만 보행자에게는 마치 지상층처럼 느껴진다. 전면도로에서는 지하 1층이 거의 건물의 1개층 높이만큼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상 2층짜리 주택이 일반적인 보행자의 시선에서는 3층 높이의 건물로 읽히는 것이다. 게다가 다락층의 높이까지 더해져 자칫 잘못하면 단독 주택단지의 풍경과는 어울리지 않는, 굉장히 높고 부담스러운 건물이 될 수도 있었다. 우리는 대지의 맥락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건물을 짓고 싶었기에 이 건물이 주변의 풍경에 어울릴 수 있게끔, 세보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게끔 만들기 위해 고민했다. 단독주택으로서의 스케일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물이 거대한 한덩어리의 매스가 아닌 분절된 매스로 느껴져야 했고, 실제로 매스를 아예 분절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기에 입면 디자인을 통해 건물의 스케일감을 세밀하게 조정하고자 하였다. 지하 1층과 지상 2층은 빨간 벽돌을, 그 사이에 위치해 있는 지상 1층은 회색 벽돌을 사용하여 재료의 분리를 통해 1차적으로 매스의 개별감을 강조하였다. 겨우 재료의 선택을 달리했을 뿐이지만 눈으로 드러나는 차이는 매우 확연하다. 1층보다 살짝 더 돌출되어 있는 2층과 다락층의 매스는 돌출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1층의 회색 벽으로부터 살짝 떨어져 있어 단순한 매스의 분리를 넘어 마치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로인해 보행자는 건물을 3층 높이의 매스 덩어리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1,2층 정도의 스케일을 가진 매스들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EPILOGUE : Beyond the Wall우리는 사면이 건물로 막혀 있는 닫힌 대지에서 대지가 놓인 맥락과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는 상태로 건축주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건물을 만들고자 하였다. 건축주의 프라이버시뿐만 아니라 이웃들의 프라이버시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선택한 담장(Wall)은 건축주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동시에 그 대응을 이웃 주민들이 부담스럽게 느끼지 않도록 배려한 건축적 언어였다. 담장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안과 밖의 공간은 내외부라는 단순한 구분을 넘어서 우리가 만든 건축적 기준인 벽 너머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스케일의 맥락이다.담장은 벽 너머의 도시적 맥락 속에서는 이웃 주민들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장치로, 벽 안의 건축적 스케일 속에서는 두 자녀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공간의 깊이감을 만들어내는 장치로 작동한다. 결국 담장은 우리가 만든 건축적인 기준이자 그와 동시에 벽 너머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스케일의 맥락 속에서 각각의 요구를 읽고 그에 대응하는 건축적 제스처인 것이다. 윗담, 아랫담 집 BEYOND THE WALLㅣKODE Architects 2023위 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Sujeong-gu, Seongnam-si, Gyeonggi-do대지면적 | 287.30㎡건축면적 | 143.49㎡연 면 적 | 456.02㎡외부마감 | 벽돌(레드, 그레이), 유리설 계 | 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KODE Architects책임 건축가 | 김민호 Kim Min Ho글 | 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KODE Architects사 진 | 장원준 Wonjun,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