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콘크ㅣ마인드 건축사사무소 CONC CONtext (re)Creationㅣ입지적 맥락의 (재)창조 CONTEXT 주상절리군으로 유명한 경주 양남 지역(특히, 부채꼴 주상절리로 유명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에 위치한 대지는, 서측으로는 동해안을 따라 남북지역을 잇는 동해안로와 접해 있고, 동측으로는 해안의 주상절리군이 형성된 지역을 따라 읍천항에서 하서항까지 이어져 있는 파도소리길에 접해 있으며, 이 파도소리길 건너편으로 주상절리 전망대와 동해안을 마주하고 있다. 서측의 동해안로와 동측의 파도소리길은 약 3~4M 가량의 고저차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곳에 형성될 건축은, 이 두 길에서의 자연스러운 접근성을 품어야 했고, 이 두 길에서 모두 적정한 건축적 풍경이 되어야 했으며, 기존 주상절리 전망대의 건축적 기능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도 기능적·공간적으로 적절히 어우러져야 했다. Keywords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Architects 콘크 CONC 카페 경주양남 주상절리 자연스러운접근성 부채꼴형상 낮은매스의건물중심 기능적조형적으로발생된매스형상 루프탑공간 다양한정주와경험적이동 RECREATION 새로운레크리에이션의장 CREATING NEW CONTEXT해안가 카페의 입지적·기능적 특성을 우선 고려하여, 건물의 내부공간이 동해와 가장 가까울 수 있도록 부채꼴(마치 부채꼴 주상절리의 형상과 같이) 형상으로 건물을 배치하였다. 기존의 주상절리 전망대와 대지 서측의 주차공간을 물리적, 공간적으로 이어주는 낮은 매스를 건물의 중심에 두되, 전망대의 존재감과 전망대에서의 조망을 해치지 않을 수 있도록 전망대의 축과 중심매스의 축을 어긋나게 계획하였다. 이 중심매스 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어지는 계단 동선을 따라 계획 발생적으로 솟아난 매스들이 만들어졌다. 1층의 바닥은 대지 서측과 동측의 고저차를 수용하여, 서측으로부터 계단식 좌석 - 주 정주 공간 – 외부 데크와 수공간 순으로 다단으로 계획하였으며, 주상절리 전망대의 출입구와 동측 부출입구를 가까운 곳에 두어, 전망대와 카페 공간 간의 물리적 거리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였다.건물의 양측으로 솟아난 매스 내에 형성된 두 개의 계단을 따라 2층으로 오르면, 내·외부를 오가는, 정주와 이동이 혼재하는, 시원한 동해의 풍경이 담겨진 공간들이 있다. 이러한 이동과 정주의 행위는 건물의 지붕으로도 이어지는데, 이곳에는 기능적·조형적으로 발생된 매스 형상(마치 자연발생적으로 솟은 주상절리를 닮은 듯한)을 경유할 수 있는 옥상의 외부 계단과, 주상절리 해안을 멀리 조망할 수 있는 루프탑 공간이 있다.RE-CREATION ⇒ RECREATION!대지의 입지적 맥락과 건물의 기능적 특성에 의해 계획 발생적으로 형성된 이 건물이, 동측 동해안로에서는 매스의 절리(節理) 사이로 주상절리 전망대가 어우러진 풍경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서측 파도소리길에서는 주상절리 해안과 전망대 그리고 카페 공간이 가깝게 이어져 다양한 정주와 경험적 이동의 혼합체로서 기능하길 바란다. 이러한 풍경들과 CONC의 공간이 경주 양남의 주상절리와 함께 새로운 레크리에이션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콘크 CONCㅣMIND Architects 20222022 경상북도 건축문화상 수상작위 치 | 경북 경주시 양남면 동해안로 Yangnam-myeon, Gyeongju-si, Gyeongsangbuk-do대지면적 | 2,853㎡건축면적 | 567.14㎡연 면 적 | 759.17㎡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외부마감 | 노출콘크리트설 계 |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 Architects책임 건축가 | 한기열 Han Kiyeol글 |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 Architects사 진 | 류준열 Ryu Jun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