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카페숨ㅣ마인드 건축사사무소 남한산성(南漢山城) 인근 성곽과 방어시설로 구축된 남한산성은 역사적 군사 요충지였던 과거의 기능이 사라지고, 남한산성 도립공원과 함께 관광 휴양지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남한산성 주변으로 각종 볼거리, 즐길 거리가 생겨나며 많은 외부인을 끌어들이고 있다. 대상지는 산성에서 다소 외진 시골 마을에 있다. 이 마을은 여느 시골 마을처럼 산과 들로 둘러싸인 한적한 곳으로 외부인의 출입 또한 거의 없다. 그러한 마을 안 대상지에는 버려진 지 오래된 빈집이 있었다. Keywords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Architects 카페숨 CafeSoom 남한산성 FORTRESS 요새 InnerCourtyard 안뜰 상생 고즈넉하고한적한분위기 공존 조각적이고기하학적인매스 자연속바위 노출콘크리트 내향적이고폐쇄적인느낌의외부 외향적이고사교적인내부 마을주민과이용자의상생 마을의숨을불어넣는상생의공간 FORTRESS(요새) + INNER COURTYARD(안뜰) 상생(相生)버려진 빈집을 새로운 건축물로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과제는 작은 시골 마을의 고즈넉하고 한적한 분위기를 훼손하지 않는 것이었고, 외부인의 유입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마을주민과 조용한 자연 속 분위기를 즐기려는 이용자가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SOOM(숨)마을주민들의 주거와 대상지 간의 물리적인 분리를 위하여 건축물의 서,남측은 콘크리트 벽체를 세우고 북,동측 도로면을 따라 두 단의 옹벽을 쌓았다. 이것은 외부에서 볼 때 요새와 같아 보인다. 두 단의 옹벽을 감싸는 측백나무가 담장 역할을 하고 주변 자연과 어우러져 내부의 이용자는 동측의 안뜰과 넓게 열린 창을 통해 자연을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공존(共存)[외부_내향적, INTROVERT] 조각적이고 기하학적인 매스는 자연 속 바위를 연상케 하고 이는 노출 콘크리트라는 외피에 의해 강조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외부요소들은 내향적이고 폐쇄적인 느낌을 준다.[내부_외향적, EXTROVERTED] 건물 동측에 조성된 안뜰은 충분한 빛을 받아주고 주변 풍경을 맘껏 감상할 수 있게 한다. 대상지 내 안뜰은 자연과 잘 어우러지며 외향적이고 사교적이다.마을환경을 고려한 폐쇄적이고 내향적인 건축물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교적이고 외향적인 안뜰의 공존은 마을주민과 이용자의 상생을 의미한다. 카페숨의 이용자가 성벽처럼 차갑고 삭막한 옹벽을 지나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에서 편안하게 ‘숨’을 쉬며 자연을 만끽하길 기대한다. 또한, 마을주민이 이용자로 인한 불편함 없이 마을의 정취를 고스란히 느끼며 예전과 같이 일상을 살아가길 바라고 더불어 카페숨이 마을의 분위기를 훼손하지 않고 마을의 숨을 불어 넣는 상생의 공간이 되길 기대한다. 카페숨 CAFE SOOMㅣMIND Architects 20222023 경기도 건축문화상 수상작위 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오전길 Ojeon-gil, Namhansanseong-myeon, Gwangju-si, Gyeonggi-do대지면적 | 895㎡ / B-478㎡건축면적 | 247.37㎡ / 155㎡연 면 적 | 390.94㎡ / 263.85㎡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외부마감 | 노출콘크리트설 계 |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 Architects책임 건축가 | 한기열 Han Kiyeol글 | 마인드건축사사무소 MIND Architects사 진 | 류준열 Ryu Jun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