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꺼삐 리포트] 컨셉으로부터 건축, 컨셉으로써 건축 Part2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와 복잡한 현상 속에서 본질을 꿰뚫는 힘으로 '컨셉'이 떠오른다. '전체를 관통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일컬어지는 컨셉(Concept)은 서로 다른 요소들을 일관되게 연결하고 통합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의미한다. '잡다(Conceive)'라는 어원에서 비롯된 이 단어는 단순한 아이디어를 넘어, 시대의 흐름을 읽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이제 컨셉은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특히, 공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삶의 방식을 재정의하는 건축 분야에서 컨셉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 '컨셉'이라는 보이지 않는 힘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의미를 던지는지 깊이 있게 살펴본다. Keywords 뚜꺼삐리포트 컨셉 Concept 봉준호 게임체인저 새로운관점 일관성 핵심전략 디자인컨셉 새로운트렌드와패러다임 건축컨셉 건축가의사유 마음가짐 치열한지적과정의결과물 프랭크로이드라이트 FrankLloydWright 르코르뷔지에 LeCorbusier 자하하디드 ZahaHadid 토마스헤더윅 ThomasHeatherwick 생명력 문화적선구자 집약체 우리삶을담아내는무대 미래로열린창 컨셉, 건축가의 사유를 담다 자신의 회사 JOH를 설립하고 매거진 〈B〉의 발행인으로 일하는 조수용 대표는 자신의 에세이에서, 만약 디자인 비용이 10억 원인 볼펜 디자인을 의뢰받는다면 어떻게 시작할지 질문한다. 그는 바로 스케치를 시작하는 대신, '볼펜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볼펜을 알아가기 시작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볼펜의 정의와 역사, 핵심 기술, 가장 많이 팔린 볼펜, 가장 쓰기 좋은 볼펜 등 방대한 자료를 모으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는 비행기표를 사서 여행을 떠나 전 세계의 큰 문구점을 돌아다니며 배낭을 볼펜으로 가득 채워 돌아와 테이블 위에 모두 쏟아놓고 분석하기 시작할 것이라 했다. 내가 보기에 좋아 보이는 것과 납득할 수 없는 것, 비싼 것과 저렴한 것, 필기감이 좋은 것과 나쁜 것 등 볼펜의 본질을 끝없이 파 들어가다 보면 어느새 볼펜을 보는 깊이 있는 눈이 생기고 시장의 최신 디자인 흐름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자연스레 깨닫게 된다. 이것이 그가 생각하는 감각적인 디자인, 즉 컨셉의 탄생 과정이며 마음가짐이다.건축은 건축물을 넘어 건축가의 깊은 사유와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예술이자 철학이다. 하나의 건축물이 탄생하기까지, 건축가는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공간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컨셉'이라는 나침반을 따른다. 건축가의 컨셉은 장소, 용도, 시대적 맥락, 사회적 이슈, 사용자 등 대상의 본질을 탐구하고 분석하여, 무형의 영감을 구체적 비전으로 승화시키는 치열한 지적 과정의 결과물이다. 건축물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결정짓는 컨셉은 형태와 기능, 사람들의 경험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건축가는 시대적 배경과 개인적 사유를 바탕으로, 기능성을 넘어 철학과 예술, 사회적 메시지를 융합하고 치열한 탐구와 재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컨셉을 창조한다. 그들은 건축물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정의하고, 우리가 공간을 인식하고 경험하는 방식 자체를 변화시킨다. 컨셉은 건축물을 통해 대중에게 말을 건네며, 깊은 사유의 결과물이 공감과 감동으로 승화되는 지점이다.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건축은 '유기적 건축(Organic Architecture)'이라는 독보적인 컨셉을 통해 자연과의 완전한 조화를 보여준다. 그는 건축물이 환경의 일부로 녹아들기를 바랐으며, 그의 대표작 낙수장(Fallingwater)은 이러한 철학적 컨셉의 정수를 보여준다. 폭포 위에 자리 잡은 건물은 끊임없이 흐르는 물소리를 실내 가득 채우고, 주변의 암석을 고스란히 실내 공간으로 끌어들여 자연과의 유기적 연결성을 극대화했다. 이러한 방식은 건축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제시하며, 공간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든다.근대 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주택은 살기 위한 기계(A machine for living)'라는 혁명적인 컨셉을 제시하며 모더니즘 건축의 새로운 기틀을 다졌다. 그는 복잡한 장식을 배제하고 기능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대 건축의 5원칙'을 제안했다. 그의 대표작인 빌라 사보아(Villa Savoye)는 이 5원칙이 완벽하게 구현된 교과서적인 사례로, 필로티로 건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개방적인 1층 공간을 확보하고, 자유로운 평면과 입면을 통해 빛과 동선의 자유를 부여했다. 이러한 컨셉은 새로운 주거 방식을 제시하며, 기능적인 미학을 통해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현대 건축에서 전통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해체하고 유동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탈구축주의(Deconstructivism)와 파라메트릭 디자인(Parametric Design)이라는 독자적인 컨셉을 통해 비정형적이고 역동적인 건축 언어를 선보이며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그의 혁신적인 컨셉이 실현된 상징적인 작품으로, 흐르는 듯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건물은 내외부 경계가 모호하며, 주변 환경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독특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러한 건축은 단순한 기능을 넘어,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과 공간적 인식을 제공하는 강력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건축 컨셉, 공간에 의미를 불어넣는 방식 건축은 형태와 기능을 넘어 특정 의도를 담아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창조적 행위이며, 그 중심에 '컨셉'이 있다. 건축 컨셉은 특정 사용자와 그 경험을 깊이 고려하여, 공간을 통해 정서적·심리적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때로는 사용자나 선택된 소재가 컨셉이 되기도 한다. 선택된 소재는 건축물에 단순한 물리적 특성을 넘어 상징성과 감성을 불어넣는다. 소재의 물성, 색감, 질감, 그리고 가공 방식이 건축물의 인상을 만들고 컨셉을 부각한다. 목재를 컨셉으로 하는 건축은 자연과의 조화, 지속 가능성, 따뜻함, 전통 등의 가치를 전달하며, 콘크리트는 견고함, 원시적인 질감, 구조의 직관성으로 특유의 분위기를 드러낸다. 기존 소재를 재활용하거나 건물의 원래 소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지속 가능성과 전통의 계승이라는 컨셉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안도 타다오(Ando Tadao)의 건축물에서 노출 콘크리트는 빛과 그림자를 극대화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주된 컨셉 요소로서 공간의 깊이와 사색을 유도한다.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설계한 케이프타운의 자이츠 아프리카 현대미술관(Zeitz MOCAA)은 과거 곡물 저장 사일로였던 건물의 독특한 콘크리트 구조를 보존하고 재활용함으로써, 산업 유산의 재탄생과 과거와 현재의 공존이라는 컨셉을 강력하게 드러낸다.이처럼 건축에서 대상이나 소재가 컨셉으로 작동할 때, 건축물은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에서 벗어나 생명력을 얻는다. 이는 대상의 필요에 섬세하게 반응하고, 소재의 물성을 통해 감각적인 경험을 선사하며,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과의 깊은 연결 가능성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컨셉은 시대의 가치를 반영하고, 그 가치를 공간으로 형상화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건축 컨셉의 진화: 삶을 재정의하는 미래의 청사진 이제 건축 컨셉은 단순히 건물을 넘어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학적 지혜, 인간 본연의 감각을 깨우는 자연 친화적 디자인, 최첨단 기술로 지능을 부여하는 스마트 솔루션, 그리고 회복을 선사하는 치유 공간 등 다양한 지향점을 담아내고 있다. 건축가는 이처럼 다가올 시대의 가치와 경험을 직조하는 문화적 선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실제로 인류는 오랜 시간 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상상을 컨셉으로 구체화하고 현실로 만들어왔다. 과거에는 꿈으로만 여겨졌던 고층 빌딩의 등장은 엘리베이터 기술이라는 핵심 컨셉이 구현되며 오늘날의 거대한 마천루가 되었고, 하늘을 나는 인류의 오랜 염원은 항공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항 터미널이라는 새로운 건축 유형을 탄생시켰다. 이처럼 컨셉은 기술 발전과 결합하고 인간의 상상력을 실현시키는 강력한 도구로써 이제 그 지평을 지구를 넘어 머나먼 우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와 스페이스X가 주도하는 화성 이주 프로젝트는 인류의 주거 개념을 완전히 재정의하는 담대한 컨셉의 집약체이다. 화성에서의 건축은 극심한 온도 변화, 유해한 방사선, 희박한 대기 등 극한 환경을 극복하고 인류의 생존과 지속 가능한 정착에 도전하고 있다.화성 이주 프로젝트와 같이 극한의 환경에 도전하고 지구의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같이, 건축 컨셉은 미래 실현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컨셉의 진화는 곧 새로운 패러다임의 건축으로 새로운 소재의 탐구와 개발, 그리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용도의 창출을 요구한다. 궁극적으로 컨셉은 인류의 열망을 구현하는 끝없는 이야기의 시작점이자 다가올 시대를 위한 명확한 청사진이 될 것이다. 컨셉의 미래, 우리에겐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컨셉은 단순한 아이디어의 구체화를 넘어선다. 그것은 과거의 흔적, 현재의 순간,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을 아우르며 이야기를 엮어낸다. 영화감독 봉준호가 다중 공간을 통해 풍부한 서사를 끌어내듯, 오케스트라가 서로 다른 소리를 모아 교향곡을 완성하듯, 강력한 컨셉은 이야기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건축에서 컨셉은 기억과 감정, 새로운 경험이 겹쳐지며 살아있는 유기체로 자란다. 기존의 서사 위에 상상력이 더해지고, 그 위로 새로운 추억이 쌓인다. 앞으로의 컨셉은 더욱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야기를 품게 될 것이다. 단순한 기능이나 미학을 넘어, 사용자 개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섬세하게 담아내며 소통하고 확장할 것이다. 컨셉은 단순히 무언가를 ‘표현하는’ 것을 넘어, 사람들에게 풍성한 경험을 설계하고 이야기를 완성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공간에서 파생되는 모든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이 바로 건축이며, 그 중심에 컨셉이 있다. 건축의 컨셉은 시대의 가치를 공간 속에 입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인간의 삶에 깊은 공명을 선사하며 우리를 미래로 이끈다. 나아가 컨셉은 단순히 시대를 반영하는 것을 넘어, 인간 존재와 사회의 지향점을 꿰뚫는 지혜와 용기가 된다. 그 과정에서 자아관, 국가관, 세계관을 아우르며, 개인의 집합이자 생각의 집합, 나아가 공유의 집합으로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갈 것이다. 결국 컨셉의 미래는 더 많은 이야기를 향한 여정이다. 그것은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해석하며, 미래를 상상하는 힘이다. 건축이 그러하듯, 컨셉은 우리 삶을 담아내는 무대이자, 미래로 열린 창이다. [이미지 출처: Zaha Hadid Architects]에디터 스티브 & 두리 안